본문 바로가기

궁금해서 정리한 일상

‘전략자산? 규제완화?’ 비트코인 휘청..8만6000달러선

최근 비트코인 가격이 급락하며 투자자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2024년 12월 20일, 비트코인 가격은 한때 9만6,000달러까지 하락하였으며, 이는 이전 최고가인 10만8,358달러에서 약 11% 감소한 수치입니다.   이러한 하락세는 2025년 2월에도 지속되어, 2월 26일에는 8만7,000달러 아래로 떨어지며 지난달 고점 대비 약 20%의 하락을 보였습니다.  

비트코인 가격 하락 요인
1.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통화정책 변화: 2024년 12월 18일, 연준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하였으나, 2025년 금리 인하 전망치를 대폭 삭감하는 매파적 행보를 보였습니다. 이로 인해 투자자들의 위험 자산 선호도가 감소하며 비트코인 가격 하락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2. 연준의 비트코인 비축 불가 발언: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비트코인을 보유할 수 없다”며, 관련 정책 변경은 의회의 몫이라고 언급하였습니다. 이러한 발언은 기관 투자자들의 비트코인 투자에 대한 신뢰를 저하시켜 가격 하락을 초래하였습니다.  
3. 인플레이션 우려와 관세 정책: 미국의 인플레이션 우려와 관세 정책은 시장의 불확실성을 증가시켰습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관세 부과 방안을 유지할 뜻을 밝히면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재점화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암호화폐 시장 전반이 하락세로 돌아섰습니다.  

시장 반응과 전망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에서도 자금 유출이 발생하였습니다. 2025년 2월 12일(현지시간) 기준, 비트코인 현물 ETF에서 총 2억5,100만 달러의 자금이 빠져나가며 3거래일 연속 순유출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의 비트코인에 대한 신뢰 저하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그러나 일부 분석가들은 단기 투자자들의 매도세가 약화되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가상자산 온체인 분석 기업 글래스노드는 “단기 투자자들의 실현손실 규모가 감소하고 있다”며, 이는 이전 하락장보다 덜 고통스러워하고 있다는 의미라고 분석하였습니다.  

전략자산으로서의 비트코인과 규제 완화

비트코인은 디지털 금으로 불리며 전략자산으로서의 역할을 기대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의 가격 변동성과 규제 환경은 이러한 기대에 도전 과제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도지코인(DOGE)과 엑스알피(XRP) 현물 ETF 신청서를 공식 접수하는 등 알트코인 기반 ETF 출시 가능성이 커지고 있으나, 이는 비트코인의 시장 지배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코인베이스의 지난해 4분기 매출이 전년 대비 138% 증가하며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지만, 이는 가상자산 산업 전반의 성장보다는 특정 기업의 성과로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트코인이 전략자산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규제 완화와 함께 시장 안정성이 확보되어야 할 것입니다.

결론

최근 비트코인 가격의 급락은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변동성에 주의하며 신중한 투자 전략을 수립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비트코인이 전략자산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규제 완화와 시장 안정성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